부자되는 통장관리

부자되는 통장관리

할인우대 생활정보

부자되는 통장관리

2 1,290 2007.03.18 13:25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내년부터 3개의 통장으로 재테크를…
부자의 첫번째 관문을 통과하기 위해선 우선 종자돈 1억을 만드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총알이 있어야 뭐라도 할 수 있으니까 말이죠. 그럼 종자돈은 어떻게 만들어 나갈까요? 여기에 대한 답변은 아주 간단하답니다.

‘적게 쓰고 많이 모아라’

특히, 매월 일정한 수입이 들어오는 급여생활자인 경우에는 일정한 금액을 적금으로 모아나가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데요. 이를 위해 3개의 예금통장을 만들어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적극 권하고 싶습니다.

우선 급여가 이체되는 통장이 하나 있어야 겠죠. 물론, 이는 직장인이면 누구나 만들어야 하는 것인데요. 일반적으로 이 통장은 회사에서, 거래하는 은행을 지정해 주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하지만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우량은행 중에서 자신이 쉽게 찾아 갈 수 있도록 회사근처나 집 근처의 은행을 선정하는 게 좋겠죠. 이 통장에는 매월 일정하게 나가는 각종 공과금을 자동 이체해 두면 편리하죠. 그리고 마이너스 대출서비스도 이 통장에 만들어 놓으면 좋습니다.

그 다음은 목돈을 모으기 위한 적금통장을 만들어 놓을 필요가 있겠죠. 종자돈을 모으겠다고 마음을 먹은 사람이라면 다소 무리가 따르더라도 자신의 급여에서 50%이상은 적금에 넣어야 합니다. 그리고 아직 미혼인 직장 초년생의 경우, 상황에 따라 급여의 70~80% 정도를 적금에 넣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러한 적금통장을 자신의 급여통장에서 자동이체가 되도록 해 놓아야 한다는 거죠. 사실 매월 쓸 돈을 먼저 쓰고 그 다음 적금을 한다는 건 쉽지가 않죠. 따라서 약간은 강제성이 따를 필요가 있는데요. 이렇게 월급이 급여통장에 입금되자마자 다른 공과금 빠져나가듯 적금으로 자동이체를 시켜 놓으면 많은 도움이 되죠.

마지막으로 지갑처럼 사용할 수 있는 생활비 통장을 하나 더 만들면 좋겠습니다. 앞서 급여통장에는 마이너스 대출을 만들어 놓는 게 좋다고 말씀 드렸는데요. 직장인이라면 대개 500~1,000만원 정도 마이너스 대출을 받을 수가 있죠.

급여의 대부분이 적금으로 들어가는 상황에서 당분간은 상당히 근검절약을 하며 생활을 해야 하겠죠. 그런데 사람 일은 알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갑자기 목돈이 필요한 일이 생기게 되면 적금을 깰 수도 없고 남에게 급전을 빌리기도 쉽지가 않죠. 이럴 때 어느 정도 규모 내에서 마이너스 대출을 활용할 필요가 있죠. 하지만 좋은 제도도 남용을 하게 되면 해가 됩니다. 별일도 아닌데, 마이너스 대출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니까요.

그래서 자신이 매월 사용할 돈은 급여통장에서 직접 인출해 쓰지 말고 일단 급여가 들어오면 매월 일정부분을 생활비 통장으로 이체해서 규모 있게 사용하는 걸 권장하고 싶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현금카드를 급여통장에는 만들지 말고 생활비 통장에만 만들라는 것입니다. 급여통장은 귀찮더라도 도장과 통장을 가지고 가야 돈을 찾을 수 있도록 해서 마이너스 대출이나 급여 자체를 쉽게 쓸 수 없도록 해놓는 거죠. 그리고 매월 일정부분의 돈만 생활비 통장에 넣고 이 돈은 현금카드로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말이죠.

결론적으로 급여통장, 적금통장 생활비 통장 이렇게 3개의 예금통장을 만들어 잘 활용하게 되면 효율적으로 종자돈을 모아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이러한 통장 활용법에 대해 “뭐 그리 귀찮은 짓을 하느냐, 대충 돈을 모으면 되지”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단 종자돈을 만들기로 마음먹으신 분이라면 이 방법을 한번쯤 시도해 보시길 권합니다. 좋은 시스템을 마련해 놓아야 좋은 결과도 나오지 않겠습니까?

출처 : 보거스 (재테크 독하게 하는 방법 카페)


Comments

한광웅 2007.03.19 17:45
좋은자료 감사합니다...부자가 되는 제일 첫관문 통장쪼개기..
실천이 잘 안되네요..^^;;
정현 2007.03.19 22:28
저는 부자 되는건 아니고, 그나마 조금이나 좋은 활용을 해볼려고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141 자녀가 대학에 특별전형으로 입학할 수 있는 방법과 절차는... 2003.05.22 1230 0
140 제대군인 자녀의 중. 고등학교 재학시 입학금 및 수업료 지원은... 2003.05.22 966 0
139 제대군인 본인이 대학교에 진학할 경우 교육지원 내용은... 2003.05.22 873 0
138 재학 도중에 자녀로 대학 3∼4학년 동안 4개 학기의 수업료등을 면제받은 후 다른 대학에 신(… 2003.05.22 969 0
137 무공수훈자 영예수당은 어떠한 사람이 받을 수 있나요? 2003.05.22 896 0
136 재외동포인 외국국적을 취득한 국가유공자에게도 보훈보상금을 지급하나요? 2003.05.22 759 0
135 6.25전몰군경자녀수당은 어떠한 사람이 받을 수 있나요? 2003.05.22 881 0
134 성년자녀에게는 왜 보훈연금을 지급하지 않나요? 2003.05.22 911 0
133 상이를 입은 공상공무원과 순직공무원유족에게는 왜 보훈연금을 지급하지 않나요? 2003.05.22 1150 0
132 광복이전에 사망한 독립유공자의 호주승계인인 손자녀에게만 지급하고 있는 보훈연금을 독립유공자의 … 2003.05.22 971 0
131 국가유공자및 그 유족으로 보훈관서에 등록신청하기 전의 기간에 대하여 보상금을 소급지급 받을 수… 2003.05.22 1032 0
130 국가유공상이자중 직장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유지 조건 2003.05.22 2140 0
129 군복무중에 부상을 입었는데 상이등급을 판정받을 수 있는지? 2003.05.22 1023 0
128 상이등급구분신체검사는 어떻게 구분하여 운용하고 있는 지? 2003.05.22 896 0
127 공무수행중에 새끼손가락 절단상을 입었는데 상이등급을 판정받을 수 있는지? 2003.05.22 949 0
126 상이등급구분신체검사 실시시기는 언제인지? 2003.05.22 846 0
125 5급 장애인으로 등록되어 있는데 상이등급구분신체검사에서 상이등급 5급을 판정받을 수 있는지? 2003.05.22 1115 0
124 제대시 군병원에서 판정받은 등급을 그대로 인정하는 지? 2003.05.22 961 0
123 군복무중 부상과 고엽제후유의증 질병을 합산하여 상이등급을 상향판정받을 수 있는지? 2003.05.22 787 0
122 전투 또는 복무중에 입은 일부 부상이 누락된 경우 이를 인정받을 수 있는지 및 인정받을 수 있… 2003.05.22 774 0
121 상이등급을 상향판정 받을 수 있는 방법은? 2003.05.22 1176 0
120 신체검사시 진단서는 반드시 제출하여야 하는지? 2003.05.22 1004 0
119 복무중에 입은 디스크(추간판탈출증등)부상이 어느정도의 상이등급에 해당되는지? 2003.05.22 1196 0
118 유공자 자녀로서 생활능력이 없는 장애인으로 인정받기 위한 절차는? 2003.05.22 684 0
117 신규신체검사에서 상이등급기준에 미달되었는데 다시 신체검사를 받을 수 있는지? 2003.05.22 911 0
116 재심신체검사에서 상이등급기준에 미달되었는데 다시 신체검사를 받을 수 있는지? 2003.05.22 869 0
115 상이등급구분표에 명시되지 않는 부상(질병포함)의 상이등급 판정방법은? 2003.05.22 1000 0
114 상이등급구분신체검사 결과에 대한 행정심판청구 절차는? 2003.05.22 840 0
113 고엽제환자 등급심사 문의? 2003.05.22 924 0
112 독립유공자는 어떤 분들인가요 2003.05.22 631 0
111 국가유공자는 어떤 분들인가요 2003.05.22 904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